서론 미리 알고 가야하는 사항 이번에 이론적인 내용, 실습적인 코드를 경험하면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저보다 이론적이고, 실습적인 부분은 다른 블로그 들이나 책에서 더 잘 정리가 되어 있지만, 그래도 제가 처음으로 직접 경험하고 느꼈던 생각과 궁금했던 점들을 적어 두도록 하겠습니다. 공부 방법 나는 클린 아키텍처를 도입하기 전에 블로그에 있는 글도 많이 확인했는데 주로 두가지 책을 추천해 주었다.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클린 아키텍처 두가지 책을 많이 추천해 주기에 서점에서 두가지를 보았는데 1번인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가 입문용으로 좋아보여 1번 서적으로 공부를 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블로그 참고를 많이 하였습니다. 본론 Layered Architecture (계층형 아키텍처) 란? 계층형..
순서는 상관 없이 이번년도에 배우고 싶은 것들을 기록하는중입니다. 진행 전 → 빨간색 진행 중 → 초록색 진행 완료 → 파란색 Clean Architecture 지금 읽고 있는 책으로 Clean Architecture에 대한 학습 하는중.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자바 코드로 구현하는 클린 웹 애플리케이션) 읽는중. Effective Java 지금 읽고 있는 책으로 Java에 대한 학습 하는중. 이펙티브 자바 Effective Java 3/E 읽는중. Test Code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인 EWM(Exercise_with_me)에 추가하고 있습니다. Only Keyboard IntelliJ 단축키와 익숙해지기 위해 키보드로만 개발할 예정. Compute Science 이번주부터 일주일에 한번 ..
서론 우리 프로젝트의 front는 Nextjs로 되어있고, back은 Springboot로 되어있다. 앞에 proxy server로 Nginx를 두었다.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도커 이미지로 만들어 하나의 명령어로 관리하고 싶었다. 그 과정에서 참 많은 일들이 있었다. 순 개발시간은 50시간이 넘어갔고, 기간으로는 2.5주 정도 걸린 것 같다. 여태까지의 실패하고 좌절하고 다시 시작하고 여러 사람들의 도움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본론 사실 처음에는 Nginx가 무엇인지, 왜 붙어야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는데 같은 회사 동료분께서 보안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내부포트(3000, 8080)를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포트(80) 하나로만 통신을 해야한다고 말씀해주셔서 도입하게 되었다. 일단 지금 상태로는 b..